4. 하비거스트, 발달과업

4. 하비거스트(R.J. Havighurst), 발달과업(developmental task)-발달과업: 각 발달단계에서 개인이 획득해야 하는 행동형.-발달과업의 특성·발달과업 사이에는 질서와 계열성이 존재한다. • 각 발달 단계에는 결정적인 시기가 존재하며 발달 과제 획득에 실패하면 각 단계에 적응할 수 없다. 또한 그럴 경우 다음 단계의 행동 발달에 지장을 줄 수 있다. • 각 발달단계의 특징은 교육목표 설정과 교육과정 편성의 지표가 되며, 특히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평생교육 1의 토대가 된다. – 하비거스트의 발달 단계

발달단계 시기 교육내용 유아기 출생~5, 6세 ① 보행과 말하기 학습 ② 부모, 형제자매 등 타인과 정서적 관계를 맺는 방법 학습 아동기 5, 6세~12, 13세 ① 보통 놀이에 필요한 신체적 기술 학습 ② 또래 친구와의 교제 방법 학습 ③ 읽고 쓰기, 산술의 기본 기술 습득 청소년기 12, 13세~18세 ① 자신의 체격을 인정하고 자신의 성역할 수용 ② 동성이나 이성 친구와의 새로운 관계 형성 ③ 부모와 다른 성인으로부터 정서적으로 독립된 사회관 ① 19세~리적 변화 인정 및 수용 노년기 61세 ① 신체적 쇠퇴 ①

발달단계 시기 교육내용 유아기 출생~5, 6세 ① 보행과 말하기 학습 ② 부모, 형제자매 등 타인과 정서적 관계를 맺는 방법 학습 아동기 5, 6세~12, 13세 ① 보통 놀이에 필요한 신체적 기술 학습 ② 또래 친구와의 교제 방법 학습 ③ 읽고 쓰기, 산술의 기본 기술 습득 청소년기 12, 13세~18세 ① 자신의 체격을 인정하고 자신의 성역할 수용 ② 동성이나 이성 친구와의 새로운 관계 형성 ③ 부모와 다른 성인으로부터 정서적으로 독립된 사회관 ① 19세~리적 변화 인정 및 수용 노년기 61세 ① 신체적 쇠퇴 ①

※ 참고자료: 준비성(readiness) 어떠한 기능이나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최적의 시기 또는 특정 교육을 위해 필요한 최적의 조건이 달성된 상태. 예를 들어 학교에서의 학습은 평균 6세 정도의 신체발달을 요구한다. 지적 준비성에 대한 관점은 성숙 요인을 강조하는 자연 성숙론의 입장과 학습 요인을 강조하는 환경 경험론의 입장으로 양분된다.

※참고 자료:문화 실조(cultural deprivation)문화 실조란 인간의 발달에 필요한 요소의 결핍, 과잉, 시기적 부적합 때문에 생기는 지적·사회적·인격적 발달의 부분적인 상실·지연·왜곡 2현상을 뜻한다. 인간 발달의 초기에 아이가 경험하는 사회적·문화적 경험의 결여는 이후 잇달발달상의 결손이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잠재적인 부정적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사회적 형평성 차원에서 보상 교육이 요구된다. 문화 실조와 관련된 개념으로는 가정 교육이 꼽힌다. 가정 교육은 인간이 가정에서 경험하는 자연 발생적 교육을 말한다. 가정 교육이 의미를 갖는 시기는 특히 인간 발달의 초기에서 이 시기의 아동은 발달 측면에서 가장 큰 가소성을 갖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가정은 특히 이 시기에 인간의 신체적·정서적·지적·사회적 발달의 기본 틀을 형성하는 교육 마토바로서 주목된다. 가정은 가정 환경을 통해서 그 구성원이 심리적·물리적 영향을 미친다. 데이브(R.H.Dave)에 따르면 가정 환경은 지위 환경, 구조 환경, 과정 환경으로 구성되는데, 그것에 따르면 가정에서의 성취 압력 언어 모델 학습에 대한 조력, 가정 내의 지적 관심과 활동, 가정에서 강조하고 학습 습관 등 가정의 과정 요인과 학업 성취도는 r=. 80수준 3의 관련성을 갖는다고 한다. 가정의 과정 환경은 심리적 환경이기 때문에 상호 작용에 의해서 매우 민감하게 변화한다(Dave&Wolf).

각주1. 평생교육은 ① 수직적 통합, 즉 한 사람이 태어나 죽을 때까지 받는 전 생애적 교육의 통합과 ② 수평적 통합, 즉 학교교육과 탈학교교육, 사회교육까지 망라하는 모든 공식·비공식적 교육의 통합을 강조하는 교육이다. 이런 점에서 평생교육은 전인격과 계속성이 담보되는 교육이라 할 수 있다.2. 평균인을 기준으로 판단한다.3. 이 r값은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r)이다. ☞교육평가, V. 문항분석, 1. 고전검사이론(classical test theory; CTT), 1.2. 문항의 변별도(item discriminant), 1.2.2.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방법에 의한 산출, 1.2.1.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방법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