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도의 구조와 주요 증상별 식도질환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식도의 구조

식도의 위치 관계 성인의 식도 길이는 약 25cm입니다. 식도는 제6경추 높이의 인두에서 시작하여 제11흉추 높이의 식도, 위 접합부에서 끝납니다.식도 횡단면은 안쪽에서 점막, 근육층, 외막의 3층 구조로 되어 있으며 따로 장막을 가지고 있지 않아 식도암이 주위에 침윤되기 쉽고 반대로 기관림프절 염증이 식도로 파급되기 쉽습니다. 외층의 외막은 종격 내의 다른 장기(기관, 대동맥 등)의 외막과 연속되어 있습니다.

식도의 생리적 협착부위 식도에 생리적 협착이 있는 3부위는 상부식도 괄약근, 기관지부 및 대동맥과의 교차부, 하부식도 괄약근 부위입니다. 이 세 곳은 염증이나 이물질로 인한 통과 장애를 유발하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식도 이완 불능증은 하부 식도 괄약근의 압력 증가로 발생합니다.

간경변과 식도정맥류 식도정맥 아래에 있는 식도정맥총은 기정맥, 반기정맥과 간문맥을 연결하고 간경변 등으로 문맥압이 상승하면 식도정맥류가 형성됩니다.
식도 질환의 주요 증상

식도질환에서 중요한 질환은 식도암, 역류성 식도염, 식도이완불능증, 식도열공탈장, 식도정맥류입니다. 식도질환의 주요 증상인 연하장애와 속쓰림은 감별에 있어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주요 증상별 식도 질환을 나열하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연하장애를 주로 호소하는 식도질환 식도이완 불능 증식도 암식도 양성종양식도 게실

역류성 식도염, 후두염 속쓰림을 주로 호소하는 식도질환 역류성 식도염 발렛 식도궤양성도열공탈장

북설악산 신선대에서 바라본 울산바위입니다. 등잔 밑이 어둡대. 이렇게 멋진 전경은 근처보다 멀리서 바라보는게 좋을지도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