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근 astro
astro는 별(star)을 뜻하는 어근입니다.

<건병어휘>astro는 star
‘astro’를 쓰는 단어.
astro=star(astro=astr=aster)
astral 다른, (신체와 분리된) 영적 세계의 / [아스트랄]
별을 뜻하는 astr 형용사를 나타내는 접미사-al
‘-al’은 한글 해석 ‘~의’
astral 별의 아스트랄

<건병어휘> astral 별의 영적 세계의
Another Meaning..
astral 영적 세계의 아스트랄
고인이 된 분들에게 쓰다
하늘의 별이 되다라는 말은 완전한 영혼의 상태가 되었다는 또 하나의 표현이기도 합니다.
astrology 점성술·점성학/[아스트롤로지]
‘별’을 뜻하는 astro’speak’을 뜻하는 log
학문을 나타내다 -logy
별을 보며 인간의 운명을 말한다.
astrology 점성술 아스트롤로지

<건병어휘> 별의 밝기와 이동으로 인간의 운명을 점치는 astrology
점성술(=점성학)별(star)의 밝기, 위치나 이동 등 천체현상을 관찰하여 인간의 운명이나 미래를 점치는 기술적 학문연구
그리고 점성술을 연구하는 사람.

<건병어휘> astrologist 점성술사
astrologist 점성술사 아스트로지스트
전문가’를 뜻하는 -ist
astronomy 천문학/[아스트로노미]
‘별’을 뜻하는 astro’rule’or’law’를 뜻하는 nom(norm)
별이 가지고 있는 규칙, 법칙.
astronomy 천문학 아스트로노미
<건병어휘> 우주 전체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astronomy
천문학 우주 전체에 관한 연구 및 우주 속에 있는 다양한 천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
그리고 별(우주)의 규칙을 연구하는 사람
astronomer 천문학자 아스트로노머
점성술과 천문학의 차이?
별빛, 움직임을 바탕으로 인간의 운명을 점치는 것이 점성술이라면
우주 속에서 일어나는 천체적 현상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한 것이 천문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건병어휘> 선덕여왕 재위(7세기) 때 건립되어 1500년을 버텨온 첨성대
오래전에는 개기일식, 개기월식, 별똥별 같은 하늘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에 대해 사람들은 공포와 경외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좀 더 똑똑한 사람은 이런 심리를 이용해 하늘의 현상을 나라의 운명으로 풀어내고 보통 사람을 지배하는 위치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드라마 ‘선덕여왕’에서도 월식을 예견한 미실이 왕에 버금가는 권력을 가진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는 하늘이 점쳐준 왕과 그 하늘의 현상을 해석한 사람을 대등한 존재로 보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런 지위를 가지고 있던 사람이 astrologist, 바로 ‘점성술사’입니다!
지금은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천문학이 하늘에 대한 이해를 대신하고 있지만 어쩌면 그 기원은 먼 옛날 점성술사가 해설하는 점성술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겠네요!
astrology와 astronomy의 차이를 알게 되면 아래 문제를 풀어보세요.
<편입 기출문제>

<건병어휘> 편입기출문제(논리)
astrologist인가? astronomer인가?
정답④astronomers
astronaut 우주비행사 / [아스트로 노트]
‘별’을 뜻하는 astro ‘항해사(sailor)’를 뜻하는 naut
이때 naut의 nau는 ship, sail의 의미로 nav에서 변형된 형태가군요! (nav=nau=ship, sail)
별(우주)에서 항해하는 사람.
astronaut 우주비행사 아스트로노트
astro+nau+t
우주에서 항해한다는 표현은 아래 사진만큼이나 멋지게 느껴지네요!

<건병 어휘> 우주를 항해하다 astronaut
이와 비슷한 단어!!
에어로노트 aeronaut 열기구 조종사, 비행기 조종사
<aero=air>
아쿠아노트 aquanaut 잠수부
<aqua=water>
asterisk 별표/[아스타리스크]
별을 뜻하는 aster
asterisk’별모양,별표’
<건병어휘> 별표 asterisk
asterisk 별표 아스타리스크
asteroid 소행성, 불가사리, 별 모양의 / [아스타로이드]
별을 뜻하는 aster~와 같은 비슷한~를 뜻하는 접미사-oid
한마디로 별 같은.
asteroid 소행성, 불가사리, 별모양, 별모양과 같은
아스타로이드
<건병어휘> 별모양 닮은 불가사리 asteroid
별모양과 같은 ‘불가사리’ asteroid
asteroid 소행성 아스타로이드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 벨트에 모여 있는 암괴!! 태양계 형성 시기부터 이미 생성된 것으로 주요 구성 물질이 탄소여서 표면이 어두운 것이 특징!
<건병 어휘> 우주로 뛰어드는 소행성 asteroid
소행성끼리 충돌하거나 다른 인력에 의해 궤도 이탈 시 지구를 향해 뛰어들어 대기와의 마찰로 긴 꼬리 빛을 발산해 타버린다.
이게
meteor 유성, 별똥별 미티아
<건병 어휘> 대기로 들어가며 타고 있는 meteor
유성(혹은 유성, 별똥별)은 대기 중으로 들어가 다 타거나 잘게 부서지지만
타는 동안에는 유성(meteor)이 다 타지 않고 땅에 떨어지면 운석(meteorite)
meteorite 운석 미티아라이트
최근 인도네시아의 한 남성이 지붕을 뚫고 떨어진 45억 년 전 운석을 1600만원에 팔았다는 기사를 봤어요!실제로 이 운석은 22억원의 가치가 있었다고 합니다!
주택 지붕을 뚫고 마당에 떨어진 45억 년 전 운석이 2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되면서 돈을 맞은 것으로 알려진 인도네시아 남성이 실제로는 운석을 1600만원에 팔았다며 실망감을 나타냈다고 BBC 인도네시아 등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유성이나 운석은 그 크기가 작지만
때로는 엄청난 크기의 소행성이 지구로 들어오기도 합니다!
그 크기가 어느 정도냐 하면
<건병어휘> 운석의 크기를 알려주는 meteorcrater
작게는 지름 50m에서 크게는 100km 이상! 공룡도 이런 충돌로 멸종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소행성과 함께 자주 언급되는
comet 혜성 커밋
먼지와 얼음으로 굳어진 덩어리!! 태양계 안쪽으로 날아와 궤도를 돌아 부서지거나 태양에 의해 소멸되기도 한다!!
<건병어휘> 우주태양계에서 보이는 comet
평소에는 잘 보이지 않지만 태양에 가까워질수록 태양풍의 영향을 받아 먼지와 얼음이 긴 꼬리빛을 발생시켜 그 존재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astro(별)에 관한 우주영화를 추천합니다!
- 그래비티 (평점 9.12)
- 제목 : 그래비티(Gravity, 2013) 허블우주망원경을 수리하기 위해 우주를 탐사하던 라이언 스톤 박사는 폭파된 인공위성 잔해와 부딪혀 소리도 산소도 없는 우주 한가운데 홀로 남게 되는데.youtube.com
2) 인터스텔라 (평점 9.12)
어렸을 때부터 궁금했던 일
지구 밖에 우주가 있다면 우주 밖에도 뭐가 있지 않을까?우주는 무한대인가?다른 지구도 있겠지?
disaster 재해/[디젤 스타]
분리, 이탈’을 뜻하는 접두사 dis ‘별’을 뜻하는 aster
별이 이탈하다 즉 사라지다
먼 옛날에는 별의 움직임으로 다가오는 날들을 점치고 있었어요!
별이 떨어지거나 사라지면 나라의 큰 재앙이 온다고 믿었던 것입니다.
disaster 재해, 재해 디제스터
<건병어휘> 항공기 이륙 사고 장면 disaster
disastrous 비참한 재해를 일으키다
디제스트러스
형용사를 나타내는 접미사-ous
catastrophe 대재앙, 재해, 불행
카테스트라피
‘down’을 뜻하는 접두사 cata ‘별’을 뜻하는 astro
cata+astro+phe
별이 떨어지는 disaster=catastrophe
2020년 대재해
전 세계 사망자 1,421,307명, 국내 사망자 516명
(2020년 11월 27일 기준)
<건병어휘> 2020년 covid19로 텅 빈 공항 내부
하늘길은 막혔고
<건병어휘> 코로나로 필수품이 된 마스크
마스크는 이제 필수품이 되었습니다.
covid19
언제쯤 코로나는 종식될까요?
내가 생각하는 과거 재난top 5
대한항공, 괌 추락사고, 성수대교 붕괴, 삼풍백화점 붕괴,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 세월호
그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삼풍백화점의 붕괴입니다.
1995년 6월 29일 오후 5시 50분경
학원에서 수업을 듣다가 지각한 친구가 뛰어들어 한 말
백화점이 붕괴됐다며!!!
“……..”
솔직히 담담했어요.돌기둥이 하나 쓰러졌을 정도라고 생각했으니까요.어린 나이여서 사실 관심도 없었어요.
다음날 아침 큰 사고가 일어난 것은 큰 문에 실린 신문을 보고 나서였습니다.
너무 심했어요.
콘크리트와 철근 구조의 잔해 사이에 쌓인 시신을 모자이크 처리 없이 적나라하게 클로즈업해 찍었기 때문입니다.
이제 와서 신문사에 항의하고 비난글도 썼겠지만 당시에는 경쟁하듯 자극적인 사진을 필터링 없이 올려놨기 때문에
나 같은 어린 친구들은 무방비 상태에서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어요.
아직도 그 사진 속 처참했던 모습, 잔해에 깔린 시체의 얼굴이 선명하게 기억납니다.
25년이 지났는데…
슬프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