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 지구지형이해 화산 나무위키백과 설명 2

▣ 화산(Volcano)◈3 분출(eruption)의 종류◆모든 화산이 항상 꽝 폭발하는 것은 아니다.• 폭발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은 마그마 내에 녹아 있는 휘발성 물질, 즉 가스(대부분 수증기와 이산화탄소)의 압력 때문인데 마그마의 온도, 압력 등이 높으면 가스에 대한 용해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조용히 분출한다. • 반대로 규산염 비율이 높은 마그마 혹은 물이나 빙하와 접촉한 마그마는 강력한 폭발을 동반해 위험하다.전자의 전형적인 예로는 하와이 화산 등이 있고, 흑흑 후자의 예는 미국의 세인트헬렌즈와 필리핀의 피나투보 등이 있다.◆이런 구분은 반드시 엄밀한 것이 아니라 단 한 번의 폭발이었는지, 지속된 분출인지에 따라서도 다르다.• 겉모습은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과정을 거쳐 나온 화산도 있다.• 이럴 때는 조사하면 구성 암석이나 지질 구조가 전혀 다르다. 심지어 어떤 화산에서 시기에 따라 점도가 다른 용암이 나오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한라산의 경우에는 용암 분출과 폭발형 분출이 모두 일어난 기록이 있다.◆단일 화산으로도 다양한 방식의 폭발을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지 화산도 큰 성층 화산이지만 최근 분출은 용암이 흐르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진 화산 분류 방식은 화산의 활동 여부에 따라 사화산, 휴화산, 활화산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화산학계에서는 이러한 임의적이고 불확실한 분류는 피하고 있는 추세다.• 왜냐하면 화산마다 활동 주기가 모두 다르고 주기 자체가 불규칙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사화산이라고 해도 언제 다시 활동을 시작할지 확신할 수 없는 것이 화산이다.제3.1 분출 양상에 따른 분류

◆ 보통 화산의 분출을 묘사할 때는 하와이 부루칸, 스토우롬볼, 펠레, 플리부터 방식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하와이”식 분출은 용암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말 그대로 하와이가 대표적인 예다.”스트롬볼리”식 분출은 질척한 화산탄과 화산 가스가 뽄뽄뽄 터지는 것과 짧은 시간 내에 ▸ 여러 차례 단발성으로 일어나는 게 특징적이다.▸ 화산 편이 흩날리는 것이 아름답기 때문에 사진 작품으로 흔히 쓰이는 분출이다.”부루칸식”은 스트롬볼리식처럼 짧은 시간 내에 단발성에 나섰지만 주로 분출되는 것이 용암이 아니라 화산재이다.▸ 더 폭발성이 강하다.”페루레식”분출은 대화산 돔의 붕괴, 고밀도의 화산 쇄설류 강하 등으로 특징화되지만 너무 위험이지만 플리부터식 분출보다 그 강도는 보통 약하다.”플리로부터 식”는 부루칸 상위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되지만 엄청난 폭발로 수직 분출의 기둥(eruption column)이 구축되는 것을 말한다.▸ 보통 플리니 식의 분출이 일어나면 주변은 꼭 피난해야 한다.▸, 다량의 화산재와 화산 가스, 화산탄이 뒤섞이고 튀겨지고 심할 경우 화스에류이 함께 발생하게 된다.◆ 한편 외부의 물이 들어 반응하고 폭발할 경우 수성 분출(hydromagmatic eruption)이라고 한다.·지하수와 접촉하고 강한 폭발하면 이를 프리 아틱 분출(phreatic eruption)이라는. 바닷물과 접촉하고 분출하고 화산도 형성 초기의 분출 모습을 예비 아토 마그마식 분화(phreatomagmatic eruption)이라는. 특히 후자의 경우는 최 이식 분출(Surtseyan eruption)라고 말하기도 한다.◉ 3.2의 화산(화산)분출물(분출물)양(양)에 의한 분류(분류)화산 규모에 따른 분류 VEI 010000 m3 이하 스트롬볼리식, 하와이식 VEI 110,000 m3~1,000,000 m3 스트롬볼리식, 하와이식 VEI 21,000,000 m3~0.01 km3부루칸식, 스트롬볼리식, 하와이식 VEI 30.01~0.1 km3페루레식, 부루칸식에 준-플리니 식, 하와이식 VEI 40.1~1.0 km3페루레식에 준-플리니 식, 플리로부터 식 VEI 51.0 km3~10 km3페루레식, 플리로부터 식 VEI 610 km3~100 km3에 플리니 식, 초 플리로부터 식 VEI 7100 km3~1000 km3초-플리로부터 식 VEI 81000 km3이 산초-·풀리니식

◆ 화산 분출은 분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규모를 책정한다.·이를 기반으로 화산 분출은 각각 그 등급이 결정될 수 있지만 이를 화산 폭발 지수(VolcanicexplosivityIndex, VEI)라고 한다.·화산 분출에 의해서 퇴적한 화산재의 체적을 조사한 뒤 그 밀도와 해당 성분의 암석 밀도를 비교하고 암석 부피를 계산한 결과를 표와 비교하면 좋다.·그래서 이 계산 법으로는 화산 가스 성분과 아주 작은 입자의 화산재는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분출된 마그마의 양은 그보다 많은…). ◈ 4화산의 종류 ◆ 화산 분출의 종류와 화산의 종류는 전혀 다른 이야기이다.·전술한 것처럼 화산 분출은 하나의 화산에서 일어나도 다양한 종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특정 화산이 하나 분출할 뿐 거의 불가능하다.·하와이에서도 하와이식 분출만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그래서 화산의 종류를 나누는 때에는 복수의 폭발이 공통적으로 가져야 할 특성을 근거로 분류하게 된다.44.1분출 지속성에 의한 분류 ◆ 여기서 분출 지속성은 분출이 몇번이나 있었느냐는 뜻이다.·1번 분출하고 더 이상 활동이 없어지면 이것을 단 성 화산(monogenicvolcano)라고 부른다.ᅦ 제주도 오름과 멕시코 파릭틴이 대표적인 사례다.◆단성화산은 통상 하나만 툭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화산활동 영역 내에서 여러 개가 만들어져 화산지대를 형성한다.• 여러 번 분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크기가 비교적 작아 보통 분석구(cindercone)나 응회환, 응회구 등 작은 화산체를 만든다.◆반대로 여러 번 폭발해 만들어지는 화산은 이중화산(polygenetic volcano)이라고 하는데 우리가 말하는 보통 화산은 이중화산이므로 이 단어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44.2형태에 따른 분류◆화산이라는 단어는 산처럼 생긴 화산만을 말한다.• 더 넓은 의미에서는 화산암체(extrusive body)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것이 더 맞다.• 화산은 화산암체의 일부이지만, 아시다시피 대부분은 화산의 범주에 들어간다.• 한편 주로 화산 분출이 어떻게 일어나느냐에 따라 화산 형태가 조금씩 달라지며 마그마 성질의 지배를 많이 받게 된다.◎ 4.2.1 용암대지 : ◆ 다량의 현무암질 용암류가 분출하여 지표의 낮은 부분을 메워 넓은 대지를 형성하면 용암대지가 된다.• 보통은 매우 넓은 영역에 쌓이기 위해 요구되는 용암류의 양이 엄청나다.• 철원-평강 용암대지나 개마고원 정도의 작은 용암대지가 있는 반면 일면-자바고원과 같이 작은 대륙 크기만한 것도 있다.◎4.2.2 순상 화산 : ◆ 점도가 낮고 넓게 퍼지는 용암류가 꾸준히 쌓여 경사가 완만하고 기저면이 넓은 화산체를 말한다.• 마치 모양이 방패 같다고 하여 순상 화산이라고 한다.ᅡ 하와이와 제주도가 대표적인 예다.◎4.2.3 분석구:◆현무암질 마그마가 분출하는데 그 양이 적어 스트롬볼리식이 좀 더 우세해지면 넓은 화산체보다는 좁은 범위에 화산탄과 암괴로 원추형 산체를 쌓는다.• 이러한 크기가 작은 산체를 분석구라고 한다. 순상화산체 위에 올려져 있는 경우가 많다.◆4.2.3.1 응회환, 응회구: • 분석구와 비슷하나 화산탄보다는 화산재에 의해 쌓인 경우로, 보통은 수성 분출과 연결되어 좁은 범위에 퇴적된 작은 산체이다.ᅩᆼ 、 보통 산이 크게 성장하지 않기 때문에 단성 화산 활동의 결과로 만들어진다.◎4.2.4 성층 화산:◆마그마가 분출되어 충전되기를 반복하면서 화산재와 용암류가 반복적으로 퇴적되어 수천년에서 수만 년에 걸쳐 산체를 쌓을 수 있는데, 이때 만들어지는 화산체를 성층 화산이라고 한다.• 복합화산이라고도 불린다.• 보통 경사가 급한 원추형의 큰 산이다.◎4.2.5 열극(피스차저vent):◆화도가 원기둥형이 아닌 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이다.즉, 확 갈라진 균열을 따라 용암이 콸콸 흘러나오는 경우 이를 열극 분출이라고 한다. 열극 분출을 일으키는 화산 지형을 열극이라고 한다. 이러한 화산 분출은 보통 점도가 매우 낮은 현무암질 마그마의 경우로 하와이나 아이슬란드에서 흔히 관찰된다.◎ 4.2.6 용암돔 (Lavadome) : ◆ 화산돔 (volcanic dome)이라고도 불린다. 다만 화산 돔은 화산 전체라기보다는 화산 구조의 일부를 이룬다는 점에서 위의 단어와는 구분된다. 마그마가 내부에서 상부 불길을 밀어 올리면서 불길 끝 주변에 용암이나 암괴를 누적시키거나 부풀리면 지표에서 관측 가능한 큰 부풀음 구조가 만들어진다. 이를 용암돔이라고 하며, 그 성분, 형태, 만들어지는 과정 등에 따라 플러그(plug), 내부 성장형(endogenous), 외부 성장형(exogenous) 등으로 구별하게 된다. 종상화산이라고도 하였으나 지금은 학술적으로 지양되는 표현으로 대부분 교과서와 교양서적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44.3 성분에 따른 분류◆마그마의 성분은 판구조 환경에 따라 조금씩 다르므로 이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 보통 솔레이트질, 알칼리, 칼크-알칼리의 3개의 현무암질 마그마가 존재한다.• 또한 이것이 진화함에 따라 알칼리 계열(alkalineseries)의 화산 활동을 보이기도 하고, 준알칼리(sub-alkalineseries) 계열의 화산 활동을 보이기도 한다.• 준알칼리 계열에 들어가는 것으로 잘 알고 있는 현무암-안산암-석영안산암-유문암 계통(줄여서 BADR 계통이라고 한다.)이다.• 알칼리계는 말 그대로 알칼리(Na, K) 함량이 높지만 이름이 조금씩 달라 나타나는 환경이 다양하다.• 대부분의 화산은 준알칼리 계열이고 알칼리 계열 마그마는 1% 정도로 보면 된다. ‘나무위키 백과사전’의 도움으로 공부한 내용.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