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1학기과학, #태양계와별, #행성의크기와거리, #행성거리비교, #행성크기비교 #학교수업 #학교과학 #학교미술

중심 과목은 과학, 행성의 크기와 거리를 체감할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이 수업을 기획했습니다.
자신의 신체 및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행성과 우주를 장식하고 에너지를 발산하며 미적 감각을 키울 기회를 제공하고 싶었습니다.

비와 비율이 5학년 과정은 아니지만 직접 행성의 크기와 거리를 측정해서 나타내면서 자연스럽게 감각을 익힐 수 있습니다.

교사의 역할은 많지 않습니다.아이들이 알아서 잘하기 때문입니다.
교사가 제공하는 것은 ‘전지’가 전부입니다.
이 수업을 앞두고 며칠 전 우주를 아주 크게 나타낼 테니 필요한 준비물을 미리 의논하고 준비해 오라고 부탁했어요.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교실에 있는 모든 물건을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동의하시면 됩니다.
당연히 사용해도 되지만 아이들은 다시 듣고 쓰니까요.

전지를 몇 장 사용할지, 전지의 향기는 어떻게 할지는 각자 자신의 세트에서 협의합니다.
제게 와서 계획을 설명한 후 필요한 만큼의 배터리를 받아 가겠습니다.

위에 세 번째와 다섯 번째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원을 어떻게 하면 나타낼 수 있는지도 아이들이 생각해요.
원형 뚜껑 등을 대고 그리기에는 원하는 행성의 크기가 나오지 않고 태양은 너무 큽니다.
심각하게 머리를 맞대고 앉아 있는 아이들에게 나침반의 원리를 떠올리라고 했더니 한 아이가 교실 어딘가에서 실을 찾고 다른 사람은 자연스럽게 그 실을 연필에 묶습니다.

스폰지에 물감을 묻혀 찍고 미니 빗자루까지 동원해 보는데 배터리를 다 채우려면 오늘 집에 못 갈 것 같아 아이들이 묻습니다.
손바닥으로 찍어도 돼요?”
그래서 더 대답을 해줬어요
‘손, 발 다 쓰면 되겠네!’
처음에 망설이던 아이들이 “정말 그렇게 해도 돼요?” 하면 양말을 벗고 배터리 위로 올라갑니다.
그렇게 해서 나온 명장면이 첫 사진입니다

어린이들이 그려내는 행성은 디테일합니다.
행성의 특징을 기억하지 못해도 이렇게 그리다 보면 게임은 끝이에요.자기가 그린 행성만은 기억할 수 있으니까요.
친구들과 이야기하면서 그린 행성은 그 순서도 잊지 못합니다.

물감, 크레파스, 매직, 네임펜, 색연필, 사인펜, 파스텔…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동원했습니다.

이렇게 큰 작품을 모둠별로 만들었으니 설치장소는 교실 밖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먼저 완성된 모듬이 숨겨진 공간을 선점합니다.
무엇으로 붙이면 떼고 나서 깨끗하고 튼튼하게 붙어있는지 또 모임에서 회의를 합니다.
후보로 나온 양면 테이프는 탈락했습니다.우리 학교 벽이 아주 예쁘대요.

천장 근처에 테이프를 붙여야 한다고 해서 일손을 좀 도와줬어요.
저희 학교에 우주가 몇 개 생겼어요

이렇게 보면 지구가 태양과 굉장히 가까워 보여요.
정성스럽게 쓴 글씨가 너무 귀여워요.

————————————— —————————————————-
옛날 글을 읽다가 2015년에 사진을 발견했어요.그래서 이 수업은 무려 7년 전에 했어요
이날 아이들이 얼마나 몰입해서 수업을 했는지, 누가 컨디션이 어땠는지 사진을 보면서 생각났어요.
수업을준비하는과정도안내한장면도,아이들이모여이야기하고저에게질문한장면도생생하게떠올립니다.
떠들썩한 우리 반, 그 아이들이 생각나서 글을 쓰는 내내 행복했습니다.
이런게 보물같은 추억이지 않을까 싶어요.
모두 잘 지내고 있겠죠.